배틀필드 온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틀필드 온라인은 배틀필드 2를 기반으로 제작된 온라인 게임으로, 네오위즈와 EA의 협력 하에 개발되었다. 이 게임은 최대 100인 전투를 지원하며, 병과, 캐릭터, 무기 커스터마이징 기능 등을 특징으로 한다. 2010년 3월에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여 2013년 3월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게임 내에는 다양한 장비와 탈것이 존재하며, 미군과 러시아 연방의 장비를 각각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오위즈 게임즈의 게임 - 요구르팅
요구르팅은 타프시스템의 '루시아드'를 네오위즈가 인수하여 MMORPG와 MORPG 요소를 결합한 온라인 게임으로, 에피소드 중심 콘텐츠, 독특한 무기 시스템, 그리고 공립 에스티버 학원과 사립 쇼게츠 학원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캐릭터와 스토리가 특징이다. - 네오위즈 게임즈의 게임 - 차구차구
차구차구는 다양한 국가 프로 축구팀과 선수, K리그 경기장 및 가상 경기장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으로, 대한민국 K리그를 포함한 실존 팀과 2005년부터 2011년까지의 선수 및 코칭 스태프 데이터를 포함한다. - 배틀필드 - 배틀필드 3
배틀필드 3는 EA DICE에서 개발하고 EA에서 배급한 2011년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싱글 플레이어, 협동 모드,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하며, 돌격병, 지원병, 공병, 정찰병 중 하나의 병과를 선택하여 파리, 테헤란 등 세계 각지를 배경으로 미국 해병대와 러시아군 간의 전쟁을 그리고, 프로스트바이트 2 엔진을 사용하여 향상된 그래픽과 파괴 효과, 억제 사격 시스템 등의 새로운 게임플레이 요소를 도입했다. - 배틀필드 - 배틀필드 1942
배틀필드 1942는 DICE에서 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 배경의 1인칭 슈팅 게임으로, 협력 플레이와 거점 점령, 다양한 병과와 30종 이상의 병기 활용, 용이한 모드 제작, 그리고 배틀필드 시리즈의 첫 작품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 2010년 비디오 게임 -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여 2010년 출시된 실시간 전략 게임이자 스타크래프트 II 3부작의 첫 번째 작품으로, 테란 종족 중심의 싱글 플레이 미션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며, 3D 그래픽, 향상된 인터페이스, 유닛 상성 체계 등으로 차별화를 이루었으나, 출시 당시 논란도 있었고, 이후 무료화와 e스포츠 대회를 통해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 2010년 비디오 게임 - 더 서드 버스데이
더 서드 버스데이는 다양한 게임 매체로부터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71점을 기록했고, 일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배틀필드 온라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 |
모드 | 멀티플레이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시리즈 | 배틀필드 |
엔진 | 변형된 리프렉터 엔진 2 (배틀필드 2142 엔진) |
원작 | 배틀필드 2 |
개발 정보 | |
개발사 | 네오위즈 게임즈, DICE |
배급사 | 네오위즈 게임즈 |
디자이너 | 최의종 (개발팀장) |
출시 정보 | |
출시일 | 대한민국: 2010년 3월 30일 |
기타 | |
이용 등급 | KGRB: 15세, 청소년 이용 불가 |
플레이 인원 | 1명-100명 |
사용 언어 | 한국어 |
2. 특징
배틀필드 2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변경 사항이 있다.
- 적대 세력 변경: 기존 배틀필드 2에서 미국 해병대의 상대였던 중국 인민해방군과 가상의 중동아시아 연합군이 러시아 연방으로 변경되었다.
- 계급 체계 변경: 계급 체계가 미국 해병대 방식에서 대한민국 국군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 기능 추가: 캐릭터와 무기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추가되었고, 최대 100명까지 참여 가능한 대규모 전투가 가능해졌다. 이 기능은 2차 테스트에서 구현되었다.
게임 시작 시 병과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서비스 종료 시점의 병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돌격병, 지원병, 특수병, 보급병도 있었으나, 2010년 12월 9일 업데이트로 사라졌다.)
병과 |
---|
의무병 |
공병 |
대전차병 |
저격병 |
대한민국의 게임사 네오위즈는 미국의 일렉트로닉 아츠 (EA)의 지도 아래 배틀필드 온라인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EA와 네오위즈는 이미 축구 게임 FIFA 온라인을 공동 개발하며 좋은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7] 배틀필드 온라인은 네오위즈가 제작하고 EA가 판매하였다.
게임 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탑승 장비와 고정 무기가 등장하며, 각 진영별로 고유한 장비를 운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한다.
배틀필드 히어로즈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었다. 이 게임은 대한민국의 네오위즈 게임즈가 개발하고 미국의 일렉트로닉 아츠(Electronic Arts)가 유통했다. 게임의 오픈 베타 테스트는 2010년 3월 30일에 시작되었으며, 약 3년 후인 2013년 3월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7]
그래픽 측면에서는 당시 기준으로 배틀필드 2142를 능가하는 향상된 그래픽을 선보였다.
3. 개발
이 게임은 배틀필드 2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원작에서 미국 해병대가 상대하는 적이 중국 인민해방군과 가상의 중동아시아 연합군이었던 것과 달리, 배틀필드 온라인에서는 러시아 연방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기존의 미국 해병대 방식의 계급 체계 대신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 체계가 도입되었다. 캐릭터와 무기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추가되었고, 최대 100인까지 참여 가능한 대규모 전투가 2차 테스트에서 구현되었다. 그래픽 면에서는 『배틀필드 2142』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개발되었다.
『배틀필드 히어로즈』와 마찬가지로 무료 플레이가 가능했으며, 부분 유료화 모델을 채택했다. 게임의 오픈 베타 테스트는 2010년 3월 30일에 시작되었으며, 약 3년 후인 2013년 3월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7]
4. 장비
4. 1. 공용 장비
4. 2. 미군 (USA)
4. 3. 러시아 연방 (RSA)
종류 | 명칭 | 탑승 인원 |
---|---|---|
전차 | T-90 | 2명 |
장갑차 | BTR-90 | 5명 |
대공 차량 | 2K22 | 2명 |
수송 차량 | GAZ 39371 | 4명 |
버기 | DPV | 3명 |
전투기 | Su-27 | - |
공격 헬리콥터 | Mi-28 (하보크) | 2명 |
수송 헬리콥터 | Mi-17 | 6명 |
정찰 헬리콥터 | EC 635 | 3명 |
대전차 미사일 | HI-8 | - |
대공 미사일 | 9K38 이글라 | - |
참조
[1]
뉴스
Battlefield Online On Neowiz's Pmang Portal (Korean)
http://bfo.pmang.com[...]
2009-08-13
[2]
뉴스
Battlefield online, 120% of the original Power-Up (translated)
https://translate.go[...]
This Is Game (Korean)
2009-03-31
[3]
뉴스
Battlefield Online, describing a fierce battle (translated)
https://translate.go[...]
2009-07-31
[4]
웹사이트
피망 - 배틀필드 온라인 BATTLEFIELD ONLINE
http://bfo.pmang.com[...]
Neowiz Games
2016-10-22
[5]
웹사이트
CBTも間近? 「Battlefield Online」の韓国公式サイトがオープン
https://www.4gamer.n[...]
2022-01-12
[6]
웹사이트
Battlefield Online
https://www.4gamer.n[...]
2022-01-12
[7]
웹사이트
피망 - 배틀필드 온라인 BATTLEFIELD ONLINE
https://web.archive.[...]
2022-01-12
[8]
웹인용
EA, 배틀필드 온라인 아시아 진출 발표
http://www.ea.co.kr/[...]
일렉트로닉 아츠 코리아
2009-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